달력

3

« 2024/3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TDD'에 해당되는 글 5

  1. 2008.07.06 Kent Beck의 Test-Driven Development by Example

내가  개발자로서 좋아 하는 책이 여러권있다.
굳이 내가 개발자임을 강조하는 것은, 현재 까지는 나의 생업이고(앞으로도 그렇겠지만) 아직까자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일이다.

새로운 것을 알아가고, 나의 손으로 창조하는 것이 비단 Programer 뿐이겠는가?
사람들의 눈으로 보이는 잣대로의 창조적인 작업이 아니라, 내손을 통해서 뿜어져 나오는 Code로 인해서 무언가가 만들어진다는 작가적 또는 예술가적인 희열을 비슷하게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 항상 새롭다.

내가 좋아하는 책 중에는 kant Beck이 저술했고, 국내에서는 김창준씨아 강규영씨가 옮겨서 소개진 테스트 주도 개발 이라는 책이있다. 처음 이책은 접하게 된것은 2005년 초이다.
TDD(Test Driven Development)라는 것은 나와 같이 일했던 연승훈이라는 분을 통해서 처음 알게되었다. 그래서 관심을 두기는 했지만 프로젝트에 적용하기에는 참 쉬지 않았다. Junit와 xUnit에 대해서 한국에서도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되었지만, 정말 제대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찾아보기 어려웠으며(이는 지금도 마찮가지이다.), 이를 적용한다고 해도 버그는 사라지지 않았다. 그리고 xUnint과 같은 Unit 테스트 툴들을 사용할 때, 정말 좋은지에 대해서 긍정하는 사람들도 그래 많지 않았다. (아마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데, 추가적인 공수가 들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지금도 많은 기업(어느 정도가 규모가 되는 회사)들은 jUnit를 도입하고, 이를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 프로세스와 개발시에 중요한 업무(?)로 정의해서 이를 지키도록 강요아닌 강요를 하고 있다.
개발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면, 이를 사용하지 말라고 해도 몰래 사용할 것이다. 필요성과 함께 정확한 사용에 대한 교육이 당연히 뒤 따라 다녀야 한다. 이는 전적으로 나의 개인적인 생각이다. 아직도 책 하나 던져주고 담 주까지 익히라고 하는 과거의 관행은 없어졌지만 , 프로그램의 코드를 생산하는 일이 창조적이라고 생각한다면 반드시 피해야 한다. 하지만 좋은 스승은 그때 당시에 찾기 무척 어려웠다. 잡지(마이크로 소프트웨어)에서 간간히 소개가 되고는 있었지만, TDD도 xUnit은 이거라고 정의내려주는 사람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었다.

개발자에 의한,개발자를 위한 여러가지 것들에 관심이 많았던 나는 2005년 우연히 서점에서 김창준씨와 강규영씨가 번영한 켄트 백의 TDD책을 발견하고 바로 구매해서 보게되었다.
내가 좋안 하는 책들은 당연하게도, 여러번 반복해서 읽게 되는 책들인데, 이는 나의 필요에 의해서이다. 아니 내가 그들 만큼 똑똑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나는 지극히 평범하기 때문에, 나보다 앞선 선배들과 똑똑한 그들의 조언이 항상 필요하기 때문이다.

                                                    (바로 이책이다.)

내가 정확하게 2005년 3월에 그 책을 구입한 이후로 1년에 거의 2~3차례 이책을 탐독을 한다.  올해도 벌써 2번째 이책을 들여다 보고 있다. 아마 올해까지 거의 9~10회 정도를 본것 같다. 하지만 정확하게 그분(캔트 백)의 의도를 모르기 때문에 매년 이책을 반복해서 보는 것이다. 역시 나는 덜 똑똑한 사람이다. 남들은 쉽게 잘하는데...(백형 부러워요.)

하지만, 내가 이해하는 것은 TDD는 개발자 자신을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개발자와 테스트를 담담한 사람들과 결과물을 받을 사람들에게 반드시 필요하다.
이의 결과로 산출된 코드는 내가 담당한 코드의 결과를 예측케 하는데, 이는 코드의 명세서와 같은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잘 설계된 시스템과 Architect는 계약 관계를 어떤계 표시하는 가에 달려있다. 이는 설계자와 코드를 작성하는 개발자와 그리고 이를 테스트할 테스터와 최종 산출물을 사용할 이름 모를 사용자와의 약속이기 때문이다.

내가 작성할 코드의 결과를 바라보는 것은, 농부가 씨를 뿌릴때 가을에 거두어야 하는 작물이 무었인지 정확하기 아는 것과 같다. 이에 맞추어서 작물에 필요한 양분과 환경을 만들어주고 추수하는 것처럼 결과에 대해 명확히 알고 씨를 뿌리는 것은 정말 중요하다. (코드 명세서는 이래서 중요하다.) TDD를 통해 작성된 코드는 정확이 이래야 한다. 무엇을 정의하고 결과로 나오야 하는 것이 무엇이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의 차이는 분명하다.
따라서 똑같은 클래스에 대해서 테스트 할때 어떤 사람은 20개를 작성하는데 어떤 사람은 200개 가까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기도 하다. (아마도 한국에는 없을 것이다.)

이렇게 작성된 TDD의 테스트 코드는 리펙토링에도 유용하다. 리펙토링은 코드의 외적인 모습을 유지하면서 내부 구조를 변경하는 것이다. 이는 리펙토링은 결코 Architecture를 흔들어서는 안된고, 현재의 상태를 가장 최적의 상태를 만드는데 초점을 두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내가 켄트 백의 책을 프로젝트의 시작 초기에 항상 읽는 이유중에 하나는 내가 부족한 면이 가장 크지만, 그의 의도와 경험을 내것으로 만들고 싶은 이유 또한 크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는 결코 불안해서 일이 안된다는 그의 말처럼, 중요한 것을 중요하게 여기면서 프로젝트에 임하고 싶기 때문이다.
사실 켄트백과 나는 다른 점이 나는 먼저 파란 불이 들어오면, 여기서 코딩을 시작한다. 그는 붉은 불에서 시작하지만, 나는 정말 붉은 불이 두럽다.

자신에게 맞는 코딩 스타일과 방법이 있다. 이를 무시하면 안된다. 나에게는 TDD와 Unit Test는 분명이 많는 방법이지만 아직 나만의 스타일은 없다. 매년 내가 그의 책은 읽는 것은 결국은 나의 스타일이 아직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글을 쓰다가 느낀점이다. 글은 나를 바라보네 만드는 군.)
아마도, 내가 나만의 스타일을 통해서 이전보다 많은 부분이 채워지고 다듬어 진다면, 그의 책을 좀도 쉽게 볼수도 있을 것이다. (매년 볼때마다 꼭 이렇게 해야하는가에 대해 그에게 의문을 갖지만, 결국은 그도 매번 최선을 찾아서 일할거라 생각이 든다.)

'공부하는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P.NET, ASP.NET MVC, ASP.NET Dynamic Data  (0) 2008.10.03
Silverlight 2 Release Candidate Now Available  (0) 2008.09.28
ASP.NET MVC의 Roadmap  (0) 2008.04.21
Hello, OSGi  (0) 2008.04.13
좋은 코드에 대한 나의 생각  (0) 2007.11.26
:
Posted by 행복상자